본문 바로가기
모바일

아이폰15 번인 현상, 발열 잇는 새로운 이슈?

by 열스 2023. 10. 15.
728x90
반응형

아이폰 15 및 아이폰 15 프로 모델의 출시는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나, 여러 기술적 이슈들도 동시에 도마 위에 올랐다. 초기에는 발열 문제와 티타늄 바디의 변색 또는 칠 벗겨짐 문제가 주요 화두로 다뤄졌으며, 이 중 발열 문제는 애플의 대응으로 iOS 17.0.3 업데이트를 통해 일부 매듭지었다. 그러나 최근 레딧 및 해외 매체를 통해 아이폰15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이 재차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목차

     

     

    디스플레이 번인(Burn-in)이란?

    아이폰15 번인 설명 전,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부터 알아보자. 디스플레이 번인(Burn-in)은 화면에 같은 이미지나 글자가 오랜 시간 표시되면 그 부분의 화소가 영구적으로 손상되어 자국처럼 남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TV 방송사 로고나 스마트폰 아이콘, 시계 같은 것이 화면에 장시간 노출되면 화면이 바뀌어도 그 이미지가 희미하게 남는다.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

     

    이를 막기 위해 스마트폰에서는 다크 모드를 활용하거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나 텍스트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미세하게 이동시켜 장시간 한 자리에 노출되는 걸 방지하는 기능이 사용되기도 한다. 번인은 단 시간 사용으로 쉽게 발생되지 않으며, 몇 달 혹은 수 년 뒤에 나타나기도 한다.

     

     

    아이폰15 번인 현상은?

    설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은 오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후에 발생하는 문제다. 그러나 출시된지 얼마 안된 아이폰 15에서 이런 현상이 이미 나타났다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볼 수 있겠다. 맥 루머스에서 공개된 아이폰 15 번인 사진을 살펴보면, 아이콘 자국이 희미하게 보인다. 해당 모델은 아이폰 15 프로 맥스로, 사용자는 이를 실제로 2주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더불어 레딧과 애플 커뮤니티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호소하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아이폰15 번인 현상
    아이폰15 번인 현상


    이 현상이 실제 디스플레이 번인이라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 있겠다. 하지만, 발열 문제와 달리 이 번인 현상은 일부 사용자에게만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며, 애플 측에서는 아직 이에 대해 특별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고가의 아이폰 15 프로 맥스에서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매우 불편하고 답답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발열 이슈처럼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에서 기인할 가능성도 있어, 이 부분은 앞으로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아이폰14 때도 있었던 번인 논란

    아이폰 14 출시 초기에도 'AOD 번인'이라는 주제로 많은 양의 기사가 쏟아졌었다. 당시, 아이폰 14의 해당 현상이 대중에게 알려지자, 애플은 이 모델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였고, 이에 따라 번인 현상은 일시적으로 해결되었다. 이는 소프트웨어적 버그로 판명되었다. 이 사건을 비추어보면, 현재 아이폰 15의 번인 현상에 대해서도 소프트웨어적 오류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아이폰14 번인 현상


    아이폰 15의 번인 현상이 소프트웨어적 오류로 확인된다면, 애플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로써는 아이폰 15의 번인 현상이 하드웨어적 결함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적 오류인지에 대한 확실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았으며, 소수의 사용자에게 일어난 문제로 보이기에 추가적인 사례나 조사는 필요해 보인다.

     

     

    아이폰15 번인 현상

     

    반응형